1. 아두이노 IDE(통합개발환경) 기본 기능
아두이노를 코딩할 때 사용하는 기본 프로그램
다운로드하여 사용해도 되고 웹 버전도 있다.
https://www.arduino.cc/en/Main/Software
Software
Open-source electronic prototyping platform enabling users to create interactive electronic objects.
www.arduino.cc
- 다운로드 클릭 시 후원 페이지가 나오지만 "Just Download"를 클릭하면 후원이 없어도 된다.
• 코딩이란?왼쪽과 같은 코드들을 작성하는 과정
• 코드란?
어떤 기능을 기계에 시키기 위해서 문자로 표기해 놓은 것
위 이미지의 한 줄 한 줄이 다 코드
코딩할 때 쓰이는 문자를 프로그래밍 언어라고 한다.
기계에 명령하는 것을 우리가 쓰기 쉽게 언어로 표현해 놓은 거라 실제 언어처럼 문법이 존재한다.
주황색으로 표시된 버튼이 컴파일 버튼
아래 작성한 코드 전체에 문법적 오류가 있는지 확인한 뒤, 코드를 실행 가능한 상태로 만든다.
보통 코드를 작성한 뒤 오류 확인 차 누르는 편
코드에 오류가 있다면 컴파일 중에 화면이 오른쪽과 같이 변하고 컴파일이 중단된다.
오류가 있을 것 같은 부분을 빨갛게 나타낸다.
(이미지에선 실제론 윗 줄이 오류)
아래 콘솔 창에서 오류의 내용을 표시
void라는 단어의 전에 쉼표나 세미콜론이 없는 것 같다는 내용
오류의 원인을 유추할 때 유용하다.
오류를 고치고 다시 컴파일하면 콘솔 칸에 컴파일 완료가 뜬다.
기계에 올려서 실행할 수 있는 상태라는 뜻
주황색으로 표시된 버튼이 업로드 버튼
코드를 컴파일을 통해 실행 가능한 상태로 바꾸고 보드에 올린다.
아두이노 보드가 컴퓨터와 USB선을 통해 연결되고 포트 설정이 되어 있어야 한다.
업로드가 완료되면 보드에서 프로그램이 바로 실행된다.
업로드된 프로그램은 보드에 저장되므로 컴퓨터와 연결이 끊겨도 전원만 공급되면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보드 내의 리셋 버튼을 누르면 저장된 프로그램이 처음부터 재실행된다.
업로드 전에 선행되어야 할 포트 설정
컴퓨터에 연결된 보드 중에 하나를 고르는 작업
보드를 컴퓨터와 연결하면 이미지처럼 포트 목록에 나타난다.
업로드를 원하는 보드를 선택하면 된다.
포트 설정을 하지 않아도, 업로드 버튼을 누르면 어느 포트를 설정할 것인지 묻는 안내 창이 뜨긴 한다.
연결되면 콘솔 창 아래에 어느 포트인지 뜬다.
'아두이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촌을 위한 빠른 아두이노 튜토리얼 - 6 (RGB LED 조작, PWM, 반복문) (0) | 2021.07.01 |
---|---|
삼촌을 위한 빠른 아두이노 튜토리얼 - 5 (스위치 조작과 조건문) (0) | 2021.07.01 |
삼촌을 위한 빠른 아두이노 튜토리얼 - 4 (LED 조작 및 변수) (0) | 2021.06.22 |
삼촌을 위한 빠른 아두이노 튜토리얼 - 3 (기본 문법 및 시리얼 통신) (0) | 2021.06.16 |
삼촌을 위한 빠른 아두이노 튜토리얼 - 2 (코드 기본 구조) (0) | 2021.06.12 |
댓글